도메인 네임 : IP 주소와 대응되는 문자열 형태의 호스트 특정 정보, 네임 서버가 관리한다.
DNS : 계층적이고 분산된 도메임 네임에 대한 관리 체계, 이를 관리하는 프로토콜.
네임 서버의 유형 : 도메인 네임을 리졸빙(풀이)하기 위해 사용되며, 로컬 네임 서버, 루트 네임 서버, TLD 네임 서버, 책임 네임 서버가 있다.
DNS 캐시 : TTL 동안의 시간만큼 도메인 네임의 질의 결과를 임시 저장하는 것
자원 : 네트워크 상의 메시지를 통해 송수신 하고자 하는 대상
URI : 자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, 식별 방법으로 위치 기반의 URL과 이름 기반의 URN이 있다.
URL : scheme, authority, path, query, fragment로 구성되어 있다.
HTTP : 요청-응답 기반의 프로토콜로 미디어 독립적이고 상태를 유지하지 않으며 지속 연결 기능을 제공하는 특성을 지닌 프로토콜이다.
HTTP 메시지 구조 : 시작 라인, 필드 라인, 메시지 본문으로 이루어져 있다.
HTTP 요청 메시지의 요청 라인 -> 메서드, HTTP 응답 메시지 상태 라인 -> 상태 코드가 명시된다.
HTTP 헤더 : 요청 메시지에서 주로 활용되는 헤더, 응답 메시지에서 주로 활용되는 헤더, 요청과 응답 메시지 모두에서 자주 활용되는 헤더로 구분할 수 있다.
캐시 : 대역폭 낭비, 응답 지연을 방지하기 위해 사본을 임시저장하는 기술이다.
쿠키 :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알 수 있는 정보로 서버에 의해 생성되고 클라이언트에 의해 저장된다.
콘텐츠 협상 : 같은 URI에 대해 가장 적합한 자원의 표현을 제공해주는 메커니즘.
✏ 숙제
Chapter5-1 확인 문제 1번
도메인 서버와 네임 서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8. 8. 8. 8은 대표적인 공개 DNS 서버로, 구글이 관리합니다.
② 도메인 네임은 호스트를 특정할 수 있는 문자열 형태의 정보입니다.
③ DNS는 계층적이고 분산된 도메인 네임에 대한 관리 체계이자 이를 관리하는 프로토콜입니다.
④ www.example.com에서 루트 도메인은 com에 해당합니다.
정답 : 4번. 루트 도메인은 점으로 표현되며 도메인 네임에 마지막에 점이 찍힌 형태로 표기됩니다. 일반적으로 생략해서 표기합니다.
Chapter5-2 확인 문제 2번
HTTP 상태 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① 300번대 상태 코드는 요청한 자원이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합니다.
② 400번대 상태 코드는 클라이언트에 의한 에러를 의미합니다.
③ 500번대 상태 코드는 서버에 의한 에러를 의미합니다.
④ 200번대 상태 코드는 요청이 성공했음을 의미합니다.
정답 : 1번. 300번대 상태는 리다이렉션 상태 코드를 의미합니다.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자원이 다른 곳에 있을 때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다른 곳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.
✏ 추가 숙제
HTTP 요청 메시지 확인 -> 크롬의 경우 F12로 개발자 도구를 열어 Network탭에서 F5 새로고침을 한 뒤 선택한 파일의 Request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예시 ) 200 OK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'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혼공학습단 14기 회고 (2) | 2025.08.17 |
|---|---|
| [혼공네트] - Chapter 06 실습으로 복습하는 네트워크, Chapter 07 네트워크 심화 (2) | 2025.08.17 |
| [혼공네트] - Chapter 04 전송 계층 (1) | 2025.07.27 |
| [혼공네트] - Chapter 03 네트워크 계층 (0) | 2025.07.20 |
| [혼공네트] - Chapter 02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 (0) | 2025.07.13 |